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📂 데이터베이스/◾ ELASTICSEARCH2

[ELK Stack] Elasticsearch의 이해, 매핑(mapping) Elasticsearch 공부해서 회사에서 살아남기 (2) 지난 포스팅에서는 REST API와 CRUD에 대해서 알아봤다. 지난 포스팅을 보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한 번 훑고 이번 포스팅 내용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. 2023.06.19 - [데이터베이스] - [ELK Stack] Elasticsearch의 이해, REST API와 CRUD [ELK Stack] Elasticsearch의 이해, REST API와 CRUD Elasticsearch 공부해서 회사에서 살아남기 (1) ELK Stack 다니는 직장에서는 ELK(Elasticsearch + Logstash + Kibana) Stack을 사용한다. 물론 RDBMS도 사용하지만 각각의 용도가 다르다. ELK Stack은 쿼리 - 수집 - 시각 z.. 2023. 6. 23.
[ELK Stack] Elasticsearch의 이해, REST API와 CRUD Elasticsearch 공부해서 회사에서 살아남기 (1) ELK Stack 다니는 직장에서는 ELK(Elasticsearch + Logstash + Kibana) Stack을 사용한다. 물론 RDBMS도 사용하지만 각각의 용도가 다르다. ELK Stack은 쿼리 - 수집 - 시각화를 맡고 RDBMS는 데이터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. 사업마다 효율성을 따져 데이터 저장소를 따로 두지 않기도 하는데 그건 사업 바이 사업인듯 하다. 그래서 결론적으로 나는 ELK Stack 플로우를 이해해야 했고, 그 중 가장 내가 많이 맡아 하게 될 Elasticsearch에 대해서 오늘 기본 문법 관련한 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. Elasticsearch는 Apache Lucene(아파치 루씬) 기반 java 오픈소스 분산 .. 2023. 6. 19.
728x90
반응형